리스트(List)에 대해 공부해보겟습니다.
리스트는 집합 이라고 보시면됩니다.
먼저 리스트를 만들때는 ([]) 대괄호로 감싸주고 그사이를 (,)쉼표로 구분해줍니다.
예를들어
list=[1,2,3,4]
이런식으로 리스트를 설정해줍니다.
여기서
앞에서 말햇듯이 파이썬은 0이 첫번째를 가르킵니다.
a[0] = 1
a[1] = 2
a[2] = 3
a[3] = 4
이런식으로 되겠습니다.
리스트의 인덱싱
리스트에서는 두값을 서로 더할수도있습니다.
list[0]+list[3]
이말은
list[0] = 1 이랑
list[3] = 4 를 서로 더한다는 말입니다.
이번에는 좀더 응용해서 리스트안에 리스트를 넣어보겠습니다.
c언어로 하자면 2차원 배열(?) 인거죠
먼저 리스트를 만들어줍니
list=[1,2,3,['a','b','c']]
a[0] = 1
a[1] = 2
a[2] = 3
ㄴa[3][0] = 'a'
ㄴa[3][1] = 'b'
ㄴa[3][2] = 'c'
a[2] 리스트인 3안에 'a','b','c'가 있다고 보시면됩니다.
(혹시 제가 이해하고있는것이 틀리면 댓글로 알려주세요)
이번엔
리스트 슬라이싱 에대해 공부해보겟습니다.
문자열 슬라이싱과 별다른게없습니다
먼저 리스트를 추가해줍니다
list=[1,2,3,4]
list[0:2]
문자열 슬라이싱이랑 별다른게없습니다
list[0]부터 list[2] 이전까지 출력하라는 말입니다
list[시작리스트:끝리스트+1]
list[0:2]를 적게되면
list[0] = '1' list[1] = '2' 가 출력됩니다
그리고 0은 생략이가능합니다.
list[:2]를 해도 똑같은 결과가나옵니다.
이번에는 list[2:] 를 적게되되면
list[2] = '3' 부터 끝번호인 list[4] = '5' 까지 출력하라는 말이됩니다.
이번에는
a 랑 b 의 리스트가 있다고 할떄 문자열 처럼 (+) 를 사용해 두개를 두 리스트 변수를 이어줄수가 있습니다.
a=[1,2,3]
b=[3,4,5]
a + b
또 똑같은리스트를 여러번 출력하기위해 (*) 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반복 출력할수도있습니다.
wikidocs에서 공부하면서 포스팅하는것입니다.
잘못된 부분이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
'python > python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공부 터플(tuple) (0) | 2015.03.10 |
---|---|
python 공부 리스트 변경 삭제 (0) | 2015.03.02 |
python 공부 문자열 함수들 (0) | 2015.02.27 |
python 공부 문자열 포매팅 (0) | 2015.02.27 |
python 공부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(0) | 2015.02.27 |